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기보다 더 좋은 콩고기 아시나요?

by 에어컨컨컨컨컨 2022. 1. 17.
반응형

고기보다 더 좋은 고기 콩단백

 

휴일, 연휴, 생일 등 우리가 먹고 마시고 즐기는 것을 합리화시켜주는 이유는 충분합니다. 최근에는 맛집을 찾아가 다양한 음식을 즐기는 경우도 많지만 부모님 생신, 아이들 생일처럼 기념해야 하는 특별한 날에는 장어, 오리, 갈비, 불고기, 삼계탕 같은 고단백 동물성 고기음식이 빠질 수 없습니다.

 

그런데 단백질은 고기에만 들어있는 것이 아니라 식물성 식품에도 들어있고 한국인의 주식인 쌀에도 단백질이 들어있습니다.

 

 

 

■ 단백질의 중요성

신체 구성의 절반 이상이 수분이라고 하지만 단백질도 몸의 20%를 차지할 만큼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에너지를 소모시켜 열량을 만들어내기도 하지만 신체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몸을 만드는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만약 단백질이 없다면 근육과 피부는 당연히 정상적일 수 없으며 머리카락도 잘 자라지 못해 탈모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음식으로 들어온 단백질은 몸속에서 아미노산 성분으로 분해돼 손상된 세포를 치료하고 새로운 세포를 만들어 냅니다.

 

그러나 저장되는 양이 부족해 계속해서 섭취해주어야 합니다. 특히 8~10가지에 달하는 필수 아미노산은 몸속에서 스스로 합성되지 않으므로 음식을 통한 섭취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합니다.

 

성장기에 접어든 아이들의 발육을 활발하게 하고 노년층 건강 유지를 위해서는 단백질 섭취가 빠질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단백질을 많이 먹는다고 먹는 양에 비례해 신체가 튼튼하게 만들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연령, 성별, 발육 및 건강상태 등에 따라 필요로 하는 단백질 양이 다르지만 매일 먹는 한국인의 밥상 메뉴를 생각하면 생선, 달걀, 두부 반찬 정도면 충분히 필요한 하루 섭취량을 채울 수 있습니다.

 

한국인은 주식으로 먹는 삼시 세 끼가 아니더라도 햄, 소시지 같은 가공육과 유제품, 달걀 등과 같은 식품을 섭취함으로써 단백질을 보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양질의 단백질 식품 선택은 필수아미노산 함유량

단백질도 다 같은 단백질이 아닙니다. 좋은 단백질 식품은 단백질 함유량이 높고 소화기관에서 흡수가 잘 되며 체내에서 자연 융합 생성되지 않는 필수 아미노산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런 질 좋은 단백질 식품을 찾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우리가 평소에 자주 먹는 달걀, 우유, 생선, 고기 등과 같은 동물성 단백질 음식이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켜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붉은 고기가 아닌 식물성 단백질을 제공해주고 있는 선두 주자는 콩 종류 단백질입니다. 주식으로 먹는 쌀이나 면 종류 음식을 만들어내는 밀 같은 곡류에 들어있는 단백질은 필수 아미노산 결핍이 있을 수 있어 공 종류 단백질에 버금가지는 못합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단백질 성분만을 놓고 비교했을 때 쌀과 밀이 뒤쳐진다는 것이지 다른 음식물과 같이 섭취하기 때문에 필수 아미노산이 치명적으로 부족하지는 않습니다.

 

 

■ 단백질 과다 섭취는 독

다다익선도 좋지만 너무 지나치면 과유불급 입니다. 단백질을 지나치게 많이 섭취하면 몸속에서 단백질을 이용할 때 생성되는 독성 부산물을 체외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간과 신장에 과부하가 걸려 빠른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철분과 아연이 많이 들어있는 질 좋은 단백질이라고 해도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는 포화지방도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포화지방이 아닌 불포화지방과 오메가 3지방을 섭취하기 위해 붉은색 육류가 아닌 생선이나 견과류, 콩류 단백질을 섭취해 심혈관질환이나 치매 발생 위험을 낮출 필요가 있습니다.

 

 

 

■ 걱정없이 먹을 수 있는 콩단백

고기보다 더 좋은 고기이며 걱정 없이 먹을 수 있는 단백질은 바로 밭에서 나는 고기라고 부르는 '콩'입니다.

 

콩은 이미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서도 지속 가능하고 미래지향적인 고영양 식품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2016년에는 '콩'의 해를 정하기도 했습니다.

 

콩에는 단백질 함유량이 36%에 달할 뿐만이 아니라 라이신(Lysine), 트레오닌(Threonine), 류신(Leucine 로이신, 루신) 등 필수 아미노산을 균형 있게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 외 오메가 3 불포화지방, 무기질, 비타민, 이소플라본, 올리고당이 들어있고 인삼을 구성하는 핵심 영양성분인 사포닌까지 들어있습니다.

 

 

두부 같은 콩 단백질이 많이 들어있는 식품을 먹으면 건강에 좋지 않은 LDL 콜레스테롤을 줄여주고 식사 후 남은 열량 에너지가 지방으로 전환될 때 만들어지는 혈중 중성지방 농도를 떨어뜨려 건강에 좋은 H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여줄 수 있습니다.

 

 

■ 혈관 및 심장기능에 좋은 콩

미국 FDA는 하루에 콩 단백질 25g을 꾸준하게 먹으면 관상동맥 질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볼 수 있다는 문구를 콩 함유 식품에 표기하고 있습니다.

 

 

 

[week&] FDA 말하길 “심장병 예방엔 콩이야, 콩 ”

<!--img_tag_s--><!--관련컴포넌트--><!--img_tag_s--> 미국 워싱턴 DC의 일본 음식점에서 만난 카를로 홀드리지(44)는 ‘토푸’(두부) 애호가다. 그는 “처음엔 입맛에 잘 맞지 않았지만 지금은 하루에 보

www.joongang.co.kr

 

미국 심장협회(AHA)에서도 일일 콩 섭취량이 50g일 경우 심장기능이 좋아져 심장병 발생 확률이 낮아진다는 발표를 하기도 했습니다.

 

미 심장협,콩 먹으면 심장병 예방에 효과 - 식품저널 foodnews

미국 심장협회(AHA)는 콩 섭취가 콜레스테롤 및 심장병 위험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음을 여러 연구를 통해 발견했다고 최근 밝힘. AHA는 또 콩 뿐 아니라 오렌지 주스, 바나나, 오트밀 그리고 잎이

www.foodnews.co.kr

 

 

■ 콩 식품 종류

단백질 섭취에 도움이 되는 콩 식품을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두부
  • 유부
  • 두유
  • 콩나물
  • 청국장
  • 렌틸콩
  • 병아리콩(이집트콩)

 

콩물을 단단하게 해 만든 두부와 두부를 튀겨내 만든 유부, 콩즙으로 만든 두유, 싹을 틔워 만든 콩나물, 발효시킨 콩으로 만든 된장과 청국장, 색깔별로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렌틸콩, 슈퍼 콩이라는 별칭까지 가지고 있는 병아리콩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콩 식품을 다양하게 섭취해 고기보다 더 좋은 콩고기 단백질을 드셔 보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콩고기 대체육 고기와 축산육 영양가 다른점은?

반응형